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language/Java

(30)
[JAVA] switch문 switch문이란? 1. java의 조건문(if, switch) 중 하나이다. 2. 처리해야 하는 경우의 수가 많을 때 유용한 조건문이다. (if-else if 문을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경우의 수가 정말 많을 때는 switch문이 더 유리하다.) switch문의 흐름 1. 조건식을 계산한다. 2. 조건식의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한다. 3. 이후의 문장들을 수행한다. 4. break문이나 switich문의 끝을 만나면 swith문 전체를 빠져나간다. switch문의 특징 1. 조건식은 ture, fasle가 아니라 어떤 결괏값이고 결괏값으로는 정수나 문자열이 올 수 있다. 2. break를 만나지 않으면 다른 case문이 있어도 무시하고 끝까지 가서 실행하는 것을 주의하자. (break문 생략..
[JAVA] 조건 연산자 ? : 조건 연산자 ? : 의 특징 1.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연산결과를 달리한다. 2. 조건석 ? 식1 : 식2 -> 조건식이 참이면 식1 거짓이면 식2이다. 3. result = (x > y) ? x : y; -> 괄호가 생략 가능하지만 가독성을 위해 사용하자. 4. 삼항 연산자는 if 문을 간단히 쓸 수 있게 고안된 연산자이다. 5. 자바의 유일한 삼항 연산자이다.
[JAVA] 사칙 연산자와 산술 변환 사칙 연산자 : +, - , *,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컴퓨터는 같은 타입끼리만 계산할 수 있고 계산 결과는 그 타입으로 나온다. 타입이 다를 경우 컴퓨터는 다른 타입끼리 계산할 수 없으므로 값손실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타입을 변환한다(산술 변환). 산술 변환 : 연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키는 것이다. 산술 변환의 특징 2가지 1. 두 피연산자의 타입을 같게 일치시킨다.(보다 큰 타입으로 일치) 2. 피연산자의 타입이 int 보다 작은 타입이면 int로 변환된다. -> byte, char, short byte + short -> int + int -> int char + short -> int + int -> int 왜 int로 변환하게 만들었을까? 타입의 범위 byt..
[JAVA] 연산자의 우선순위와 결합 규칙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외우기 쉽다. 1. 산술(+,-), 비교(>, 이항(2) > 삼항(3). 단항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이항 연산자보다 높다. 3. 단항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진행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JAVA] 리터럴의 타입 자바의 리터럴의 타입은 총 5가지가 있다. 논리형 : true, false 정수형 : 1, 10, 1100 실수형 : 2.43, 3.14 문자형 : 'A', '\n' 문자열 : "abc", "A" 정수형과 실수형은 타입이 여러 개가 있으므로 접미사를 붙일 수 있다. 정수형 : L(Long) 실수형 : f(float), d(double) 정수형의 기본타입은 int이고 실수형의 기본타입은 double이라 실수형의 접미사 d는 생략해도 된다.
[JAVA] 변수의 타입 자바의 변수의 타입은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뉜다. 기본형은 실제 값을 저장하고 참조형은 메모리의 주소(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기본형의 타입은 총 8가지가 있다. 문자형 : char(2byte) 정수형 : byte(1byte) , short(2byte), int(4byte) , long(8byte) 실수형 : float(4byte), double(8byte) 논리형 : boolean(1byte) 문자형 3개, 정수형 4개, 실수형 2개, 논리형 1개로 총 8개이다. 참조형의 타입은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이라고 할 수 있다. ex) String, Map, Set 기본형은 타입마다 크기가 다르지만 참조형은 타입에 상관없이 크기가 항상 동일하다. ex) 32bit->4byte, 64bit->8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