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버전 관리 시스템
-> 내가 만든 버전뿐 아니라 동료가 만든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동료와 내 버전을 비교해서 최신본으로 코드를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Git을 쓰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저장할 공간만 있다면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
1. 개인 컴퓨터
2. USB
3. 회사 서버
4. 클라우드(GitHub, BitBucket, GitLab...) - 원격 저장소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과정
1.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 거다!'라고 명령 - git init
이 폴더에서 git으로 버전관리를 하고 싶어!
git init - 로컬 저장소 생성 -> .git 폴더(로컬 저장소)
2. 즐겁게 코딩
3. 내가 변경한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 git add
커밋으로 만들길 원하는 파일만 선택 : 애드
4.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어주기 - git commit
덩어리 : 커밋 = 하나의 버전
5. 코딩 끝났으니 밥 먹고 오기
6.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블로그 만드는 거랑 동일)
7.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려주기 - git remote add
8.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 git push
+커밋
1. 커밋은 '의미 있는 변동사항'을 묶어서 만든다.
2. 버튼 클릭 버그를 고치는데 5가지 파일을 수정했다면 그 5가지를 묶어서 하나의 커밋으로 만든다.
3. 동료 개발자(혹은 미래의 나)가 '버튼 클릭 버그'를 고치는데 어떤 파일을 수정했는지 손쉽게 파악 가능하다.
4. 커밋 메시지 적는 게 귀찮아도 시간 조금이라도 들이기(나중에 후회하지 않는다.)
+git으로 추적하는 파일의 4가지 상태
1. untracked : [추적 안됨], tracked : [수정 없음], [수정함], [스테이지 됨] -> 총 4가지 상태
2. 작업 공간(Working directory)에 있는 [수정함] [추적 안됨] 파일을 스테이지로 올려 [스테이지 됨]으로 변경한다.
3. 커밋을 하면 [수정 없음] 상태로 돌아가서 다시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